>    교회사역    >    교육훈련    >    사역훈련

사역훈련

사역훈련.jpg

지금까지 한국교회에서는

평신도가 하나님의 말씀을 가지고 다른 형제들을 섬기는 사역에 대해 매우 소극적이었다. 주일학교에서 가르치거나 구역에서 예배를 인도하는 데 소수의 평신도를 참여시키는 것이 고작이었다. 그리고 평신도가 말씀사역에 봉사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그들을 훈련시키는 일에는 거의 손을 쓰지 못하고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. 대개가 겉으로 판단해서 믿음이 좋고 은사가 있어 보이면 무조건 일을 시키는 형편이다.
그 결과 교회안에 문제도 많이 일어났고 대다수의 평신도가 아까운 젊음과 은사를 낭비하면서 신앙생활을 하는 타성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.

사역훈련이란 제자훈련을 받은 사람중에서 여러 가지로 보아 말씀을 가지고 다른 형제들을 섬길 수 있는 자들을 뽑아 특별히 준비시키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. 제자훈련은 평신도를 예수처럼 되게 하고 예수처럼 살 수 있는 신앙인으로 세워 주는데 그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사역훈련은 교회 안에서 교역자의 지도아래 말씀을 가지고 다른 형제를 섬길 수 있는 ‘작은목사’를 만드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. 이것은 교역자의 분신이 되어 목회를 돕는 평신도 지도자를 발굴하는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 일이다. 제자훈련을 받은 자가 빠짐없이 말씀사역에 뛰어 들 수 있으면 좋은데 실제적으로는 그렇지 못하다. 그래서 제자훈련을 받은 다음 각자의 은사에 따라 어떤 일에 봉사해야 할 것인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. 만일 말씀을 가르치는 은사가 없다면 사역훈련을 받을 생각을 하지 말고 자기 분수에 맞는 일에 충성해야 할 것이다. 교회 안에는 꼭 말씀을 가르치는 일만 중요한 것이 아니다. 은사를 받은대로 봉사해야 할 영역이 얼마든지 있다. 교회는 다양한 은사를 가진 다양한 지체를 필요로 하는 그리스도의 몸이다. 그러므로 사역훈련을 받는다고 해서 특별한 신분이나 된 것처럼 교만해서는 안된다. 단지 말씀사역이 가장 근본적인 영역이고 그만큼 어려운 일이어서 다른 영역에서 봉사하는 자들보다 더 많은 준비와 훈련을 쌍아야 한다는 것이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. 말씀사역에는 두려운 책임이 뒤따른다. 조금이라도 성경말씀을 잘못 해석하거나 가르치면 치명적인 손해를 끼칠 수 있는 것이 바로 말씀사역이다. 그러므로 남보다 더 많이 준비해야 하는 것이다. 동시에 말씀사역을 잘 할 때에는 어느 영역의 봉사자도 맛볼 수 없는 보람과 기쁨을 얻을 수 있다. 죽었던 영혼이 살아나고 병들었던 영혼이 새롭게 되고 가난한 영혼이 하늘의 부요함을 맛보는 기적들이 말씀사역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. 그러므로 이 일에 부름을 받은 자는 남다른 준비와 노력을 해야 하는 것이다. 사역훈련에 부름을 받은 사람은 부서지기 쉬운 질그릇에 지나지 않는 자기 자신을 귀한 사역에 불러주신 주님께 감사와 찬양을 돌려야 할 것이다. 그리고 훈련을 받을 동안 더 큰 말씀의 은사를 달라고 기도해야 한다. 동시에 성령의 영감을 갑절이나 받기를 사모해야 할 것이다. 한 영혼을 사랑하는 마음이 불타야 하고 어떤 사람이라도 포용할 수 있는 바다같이 넓은 마음을 얻어야 할 것이다. 그리고 자신의 인격과 삶이 예수 그리스도를 닮아가기에 부족하지 않도록 자신을 쳐 복종시키기를 바울처럼 해야 할 것이다. 그래서 이사야 선지자가 오래전에 꿈을 꾼 메시야 시대의 대장부들이 되어야 할 것이다.
 

“네 백성이 다 의롭게 되어 영영히 땅을 차지하리니 그들은 나의 심은 가지요 나의 손으로 만든 것으로서 나의 영광을 나타낼 것인즉 그 작은 자가 천을 이루겠고 그 약한 자가 강국을 이룰 것이라 때가 되면 나 여호와가 속히 이루리라.” (이사야 60장 21-22절)